[박문각] 2006년 4월 23일 전북 한국사 기출문제 복원

기출 문제 복원/【전남북9급기출복원】

[박문각] 2006년 4월 23일 전북 한국사 기출문제 복원

제주도여행in 2006. 5. 23. 11:46
반응형

[박문각] 2006년 4월 23일 전북 한국사 기출문제 복원

 

 

1. 고려시대 여진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여진은 발해 구성원의 일부였던 말갈족의 후신으로 고려가 건국되자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부르며 조공을 바쳤다.
② 고려는 투항해 오는 여진인 에게는 벼슬과 토지 등을 지급하는 동화정책을 실시하였다.
③ 11세기말 이후 완안부의 세력이 강화되면서 주변의 여진족을 통합하고 고려와 무력충돌을 빚게 되었다.
④ 숙종 때 여진족을 정벌하고 확보한 동북 9성 지역을 여진족이 다시는 고려를 침범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1년 만에 되돌려 주었다.
⑤ 여진족이 건국한 금(金)은 거란과 송나라를 제압한 후 고려에 군신관계를 요구하였고, 고려는 평화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를 수락하였다.

 



2. 삼국 및 신라시대에 해외에서 활동한 승려들의 활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승랑(僧朗) - 고구려 출신으로 5세기말 경에 중국으로 건너가 진짜진리는 유(有)도 아니고 무(無)도 아닌 공(空)이라고 하는 섭론종(攝論宗)의 발전에 기여했다.
② 혜자(慧慈) - 백제 출신으로 일본에 건너가 쇼오토쿠(聖德)태자에게 불교학을 가르쳐 주었다.
③ 원측(圓測) - 신라 출신으로 중국에 유학하여 현장(玄將) 문하에서 유식학(唯識學)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④ 혜초(蕙超) - 통일신라 출신으로 중국에 유학하여 화엄학(華儼學)을 공부하였으며, 인도와 서역 여러 나라의 성지를 순례하고 『왕오천축국전 』을 서술하였다.
⑤ 김교각(金喬覺) - 중국에 유학하여 선종(禪宗)을 공부하고 고행과 포교활동을 전개하여 미륵보살의 화신으로 숭상되었다.

 



3. 2006년도 전라북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 합격한 석원씨는, 본인이 근무하게 될 전라북도에 대해 좀 더 알기 위해 전북지방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답사여행을 하기로 했다. 다음 중 석원씨의 전북 답사여행 목적지에 포함될 수 없는 문화재는?


① 황토현 전적지 ② 선암사 승선교 ③ 내소사 대웅전 ④ 황산대첩비지 ⑤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4. 임진왜란은 국내.외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왜구와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② 불국사, 경복궁, 서적, 실록 등 수많은 문화재가 손실되고 말았다.
③ 전란 중 토지대장과 호적이 대부분 없어져 국가 재정이 궁핍해졌다.
④ 북방의 여진족이 급속히 성장하여 동아시아의 정세가 크게 변하였다.
⑤ 궁핍한 국가 재정을 만회하기 위해 공명첩이 대량으로 발급되어 신분제의 동요를 가져왔다.

 



5. 유신헌법 제정 전후의 국내외 상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① 미국과 중국의 국교가 회복되어 동서 냉전체제에 변화가 생겨났다.
② 이산가족 상봉이 추진되는 등 남북간에 화해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③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신민당이 승리하여 정권의 기반이 약화되었다.
④ 북한에서는 주석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사회주의 헌법'을 제정하였다.
⑤ 낙후된 농촌사회를 갭라하기 위한 '새마을 운동'이 시작되었다.



<복원문제 추가분>
* 5세기 이후 삼국의 동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광개토왕과 장수왕 대에 대외적으로 팽창한 고구려는 스스로 천하대국임을 자랑하면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주변국가를 동이로 부르기도 하였다.
2. 고구려에 의해 남쪽으로 밀려난 백제는 신라와 혼인동맹을 맺고 중국 양나라 및 일본과 적극적인 교류를 통하여 세력을 만회하고자 하였다.
3. 북제와 돌궐의 압력에 시달리게 된 고구려는 신라에 한강유역과 함흥평야 일대를 양도하여 남부 국경선을 안정시키고 서북쪽의 위협에 대처하였다.
4. 백제의 성왕은 사비 천도와 담로제 실시 등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하류지역을 확보하였지만, 진흥왕의 배신으로 이 지역을 빼앗기게 되었다.
5. 수나라의 중국 통일에 위협을 느낀 고구려는 돌궐과 연대를 맺은 후 수의 전략적 요충지인 요서지방을 공격하였다.

 



* 우리나라의 대외교역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통일신라는 당, 발해, 일본 아라비아와 교역하였으며 8세기 후반에 활동한 장보고는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고 당 및 일본과의 국제무역을 주도하였다.
2. 발해와 일본의 교역은 일본 측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발해 측에서는 말갈계통의 사람들이 주로 종사하였다.
3. 고려의 가장 큰 교역 상대국은 일본이었는데, 인삼과 도자기를 주로 수출하고 금, 은 등의 귀금속을 구입하여 많은 이익을 거두었다.
4. 조선전기에는 명나라와의 공무역을 제외한 외국과의 교역은 일체 금지되었다.
5. 조선후기에는 대외무역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특히 일본에 물건을 수출하고 들여온 은을 다시 청나라에 수출하여 중간이득을 취하여다.

 

 



* 다음은 1920년대 중반에 전개된 대규모 항일 시위 때 나온 격문이다. 이 격문이 만들어진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항일 민족운동의 변화에 대하여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조선 민중아! 우리의 철철지원수는 자본.제국주의 일본이다. 이천만 동포야!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자 만세, 만세, 조선독립 만세!>


1. 사회주의 운동이 퇴조하고, 민족주의 운동이 대두한다.
2. 민족주의 운동이 퇴조하고, 사회주의 운동이 대두한다.
3.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서로 손을 잡는다.
4.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갈등이 더욱 깊어진다.
5. 이 운동을 계기로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된다.

* 다음은 고려 시대의 만적의 난에서 주장된 것이다. 이와 성격이 가장 가까운 것은?
<무신 정변 이후로 나라의 공경대부가 천민에서 많이 나왔다. 어 찌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겠는가? 때가 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노비만 어찌 모진 채찍 밑에서 곤욕을 당할 수 있느냐?>
1. 흥사단운동 2. 황국협회 활동 3. 동학농민운동 4. 조선형평사 운동 5. 민족문화 수호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