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교사 대폭 늘려 행정업무 분담

시험 뉴스|공고/【시험·채용뉴스】

인턴교사 대폭 늘려 행정업무 분담

제주도여행in 2010. 5. 6. 11:49
반응형

인턴교사 대폭 늘려 행정업무 분담

    제2차 교육개혁 대책회의 보고 주요 내용

정부가 교사들의 행정업무 경감 방안으로 ‘학습보조 인턴교사’의 채용을 크게 늘이기로 했다.

이는 학생들의 신상과 학습 수준 측정 등을 다뤄야 하는 학교 행정업무의 특수성상 사무보조 요원을 채용하는 것이 교원들의 행정업무를 줄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달 26일 제2차 교육개혁 대책회의에서 보고한 내용은 교원들이 각종 잡무에서 벗어나 수업에 전념할 수 있게 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 학교 ‘규제·감독’ 기관이던 180개 지역교육청도 교육지원청으로 이름을 바꿔 학생·학부모·학교를 상대로 한 ‘서비스’ 기관으로 탈바꿈한다.

특히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에 대해 교원들은 잡무가 늘 쌓여 있는 데다 교과부나 교육청, 교육위원회, 시도의회, 국회 등 여러 기관이 비슷한 자료를 중복요청하는 때도 잦아 수업에 몰두할 여건이 안 된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교원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지방교육행·재정통합시스템(에듀파인), 학교정보공시 등의 기본자료 입력 외의 통계공문 처리 부담을 제로(0)로 만들 방침이다.

다른 기관이 요구하는 통계 자료는 교육학술정보원, 시도 교육정보원 등이 처리한다.

내년부터 학교에 전자문서 시스템을 전면 도입하고 단순 안내 공문은 교육청 전자문서 게시판으로 대체해 학교에 보내는 공문을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

부장교사 등 행정업무 부담이 큰 교사에게는 수업시수를 줄여주고 ‘2007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집중이수제 등으로 수업시수가 모자라는 예체능 등의 교원은 지역청 소속 순회교사로 바꿔 지난해 4월 현재 7천명에서 내년엔 1만5천명으로 늘려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기초학력미달 지도, 학업중단 예방, 실험·실습 지원, 수준별 이동수업 담당 등 수업과 교무행정을 보조하는 인턴교사도 7천명에서 하반기 3천명을 늘려 1만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또한 수업 잘하는 교사를 우대하는 수석교사제의 법적 근거도 초중등교육법과 교육공무원법에 마련하고 교육경력이 일정 기간(예 20년) 이상인 교사를 상대로 추천을 받아 실적검사, 역량평가 등을 통해 선발하기로 했다.
 
수석교사 숫자는 333명에서 내년 2천명으로, 또 이후에는 매년 1천명씩 늘려 1만명(학교당 1명)으로 확대한다. 이들은 최고 수업 전문가일 뿐 아니라 신임교사 멘토, 수업 컨설팅, 교과수업 지원 등의 역할을 하는 등 교장(교감)과 차별화된 역할을 맡는다.
이밖에 자율적 연수 휴직(무급 1년), 교원별 연구·학습 이력(포트폴리오) 관리 등도 추진된다.

반응형